동양자수박물관

관람후기

답십리 고미술상가

작성일
18-07-08 11:43
작성자
관리자
조회
5,009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서울소재 답십리 고미술상가는 국내에서

고미술품을 취급하는 가계가 가장 많은

곳으로 소문이 나 있다. 문인화, 도자기,

민화와 더불어  다양한 민예적인 공예품
들을 거래하고 있다.


국내외 고미술애호가들이 수집을 위해

반드시 들려야 하는 하는 필수코스로
유명하다. 서울인사동 고미술거리와 쌍
벽을 이루고 있다. 


물론 대구, 전주, 광주,부산, 진주 등 전

국 주요도시에도 고미술을 취급하는 전

문거리가 존재한다.


최근에 들어와서는 서울지역을 포함하

여 전국 고미술상권에  몰아 닥친 사상

전례없는 불황으로 인해 심각한 생존의

위기를 맞히 하고 있다.


1980-1990년대 까지만 해도 국내적으

로 고미술업계는 수집열풍으로 인해 호
황과 호시절을 누렸다.


급속한 경제성장, 전통문화에 대한 관

심, 박물관의 양적인 성장으로 고미술

을 취급하는 가계들은 우후죽순처럼

전국적인 성업을 이루었다.


2000년대에 들어와 수집유물에 대한

양질의 공급물량이 줄어 들고  IMF경

제위기와 상거래질서의 문란 등으로

인하여 수집인구가 급격히 감소하였

다.


수집열풍이 썰물처럼 사라졌다. 고미

술유통산업은 전례없는 사양화의 길

을 불가피하게 걷게 된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우리 고미술의 해외반

출금지, 젊은층들의 무관심, 전문수

집가층의 현대미술에 대한 선호현상,

경매산업의 출현, 고미술취급상인들

의 고령화 등으로 위기가 더욱 가중

되고 있다. 존폐의 기로에 놓여 있는

것이다.


답십리고미술상가는 자수박물관의

설립이 있기까지 자수수집의 애환이

서린 곳이자 전통문화교육의 산실과

같은 소중한 장소로 기억되고 있다.


전국의 수집상들이 가져온 다양한

고미술품들을 감상하며, 경험많은
고미술상인들과 토론과 정담을 나
누면서 우리전통문화의 소중함과
미래가치를 절실히 느끼게 한 스
승과 같은 존재인 것이다.


오랜만에 답십리상가를 방문하였

다. 불황의 여파로 많은 가계들이

문을 닫아서 인지 상가분위기는

많이 위축되어 있었다. 주말이면

국내외 고객들로 성시를 이루었

던 상가는 산사와 같은 고요가

감돌고 있었다.


전통문화의 소중한 교육적인 산
실이자 열린 박물관과 같은 역할
을 묵묵히 수행해온 답십리고미
술상가와 같은 전국의 고미술거
리를 활성화하기 위한 문화운동
을 펼쳐야 되겠다. 정부와 언론,
문화단체의 각별한 관심과 성원,
해법을 주문하고 싶다.










목록
전체215개, 현재2/전체8페이지
게시물 검색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문화올림픽을 꽃피운 열정(전보삼, 강원도민일보 기고문, 2018) 관리자 2024-11-21 1192
공지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관리자 2024-05-06 2518
공지 자수보자기의 한 땀속에 담긴 미학(자수보자기 전시회 도록 발… 관리자 2023-11-26 3817
공지 어머니의 집 관리자 2023-03-09 6813
공지 명상과 치유의 예술공간 관리자 2022-12-26 7699
공지 마크 로스코 관리자 2022-12-25 7545
공지 실크스크린 체험 관리자 2022-10-28 8040
공지 어머니의 꿈 관리자 2022-10-16 8216
공지 강릉의 동양자수박물관은 존속해야 한다 관리자 2022-03-18 10957
공지 가장 지역적인 것이 세계적인 관리자 2022-02-10 11092
공지 문화재지킴이 관리자 2022-01-27 11263
공지 강릉수보자기의 기적 관리자 2022-01-02 11312
공지 강릉자수는 어디로? 관리자 2021-11-29 12011
공지 박물관존속에 대한 못다핀 글 관리자 2021-11-26 12007
185 강릉에서 피어난 규방공예(문화강좌 세부내용) 관리자 2019-02-24 17130
184 달과 스마트폰 관리자 2018-08-28 5560
183 스토리텔러와 디자이너 관리자 2018-08-26 5521
182 강릉색실누비, 평창올림픽유산(Olympic Legacy)이 되다 관리자 2018-08-16 5421
181 상품에 문화를 담는다 관리자 2018-08-12 5229
180 강릉예술창작인촌 관리자 2018-07-29 5230
179 혁신성장과 박물관 관리자 2018-07-14 4759
178 한국인의 밥상 관리자 2018-07-10 5146
177 답십리 고미술상가 관리자 2018-07-08 5010
176 달항아리에 강릉수보를 입히다 관리자 2018-06-30 5092
175 스토리(story), 펀(fun), 힐링(healing) 관리자 2018-04-25 5136
174 나물캐는 처녀 관리자 2018-04-08 5562
173 강릉색실누비가 남긴 아름다운 추억 관리자 2018-02-14 5375
172 서정성, 조형성, 정체성 관리자 2017-12-31 5410
171 한숨쌈지 관리자 2017-12-28 5517
170 창조적인 디자인과 전통 관리자 2017-12-26 6019
169 문화상품개발을 위한 협업창작 관리자 2017-12-18 4983
168 강릉색실누비, 올림픽예술포스터 되다 관리자 2017-12-16 5038
167 자수 밑그림 관리자 2017-08-19 5965
166 원형과 재창조 관리자 2017-08-16 5622
165 희망과 절망 관리자 2017-08-05 5585
164 염원 관리자 2017-08-04 5326
163 전통에서 찾은 미래 관리자 2017-07-10 5438
162 오죽헌의 어머니길 관리자 2017-07-09 5461
161 규방예술을 뛰어 넘어 관리자 2017-06-18 5287
160 미적 통찰력 관리자 2017-06-13 5109
159 한땀의 미학 관리자 2017-06-11 4767
158 자수는 자수이상이다 관리자 2017-05-23 5031
157 영국의 윌리암 모리스 관리자 2017-05-15 5466
156 색실누비: 강릉의 장식미술 관리자 2017-05-14 5326
처음  1  2  3  4  5  6  7  8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