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자수박물관

관람후기

문화융성시대의 새로운 화두: 협업과 생태계

작성일
14-10-18 14:03
작성자
안영갑
조회
4,748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시대에는 개방과 협력을
통한 협업이 매우 중요하다. 페쇄적인 사업모델로는
지속적인 성장이 어려운 시대를 맞이 하고 있다. 

창조경제시대에는 사업의 속도와 개방성, 다양성
경영이 매우 중요하다. 빠른 협업을 통하여 장점을
상호 보완하거나 고유자산을 공유하여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창조할 수 있다.

우리 문화산업의 주요한 구성원인 박물관이나
미술관도 예외가 아니다. 전통적인 경영에 안주하거나
독자적인 경영모델로는 새로운 활로를 개척할 수 없다.
특히 치열한 경쟁과 열악한 경영환경에 놓여있는
박물관/미술관 경영의 경우 더욱 새롭고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다.

최근에 혁신의 새로운 화두로 등장하고 있는 주제가
효과적인 협업과 생태계의 구축이다. 이종 업종간이나
동종 업종간에 상호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핵심역량이나 자원을 공유하여 활용도를 높이자는
것이다.

박물관/미술관 상호간이나 문화예술에 관심있는
많은 유관기관들과 융합적인 관점에서 상호 긴밀한
협업을 통하여 많은 시너지 효과를 창조할 수 있다.
무성한 숲과 같은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 아이디어,
기술, 자본은 물론이고 시장을 함께 공유함으로써
공동의 번영을 이룩할 수가 있다.

이를 통해서 박물관/미술관은 열악한 경영환경을
극복하고 새로운 활로인 창조경영을 할 수 있다.
박물관/미술관들은 지속적인 고객가치 창조를 위한
상품개발이  용이해지고 다양한 홍보활동은 물론이고
새로운 시장의 개척과 더불어 기존시장의 공유도
원할해 진다. 안정된  수익기반의 확보와 더불어
미래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협업과 생태계의 조성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전제조건이 있다. 개방적인 자세와 상호
협력의 문화이다. 페쇄적인 학연, 지연, 혈연주의
문화가 아직도 팽배하고 다양한 조직간이나
동일조직내 부서간에도 대화의 문턱이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멀고 먼 길이다.

개방적인 혁신과 창조경영이 중시되는 시대에
우리 사회, 경제, 문화의 발전을 가로막는 암적인
존재들인 것이다. 이들을 효과적으로 극복하는
지혜와 용기가 우리 모두에게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상호 윈윈과 상생발전이 중시되는 창조경영
시대에 우리 모두 "오픈 마인드"를 확실히 갖고
활발한 협업을 통하여 무성한 문화예술생태계의
조성을 앞당겨 보자! 협업과 생태계는 문화융성
시대를 향한 중요한 지혜이자 패러다임이며
미래를 향한 박물관/미술관의 생존의 필수
조건이다.

문화예술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박물관
경영인으로서 하루 빨리 새로운 박물관/미술관
문화가 열리기를 간절히 기대해 보고 싶다.
목록 수정 삭제
전체215개, 현재4/전체8페이지
게시물 검색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문화올림픽을 꽃피운 열정(전보삼, 강원도민일보 기고문, 2018) 관리자 2024-11-21 1186
공지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관리자 2024-05-06 2511
공지 자수보자기의 한 땀속에 담긴 미학(자수보자기 전시회 도록 발… 관리자 2023-11-26 3811
공지 어머니의 집 관리자 2023-03-09 6804
공지 명상과 치유의 예술공간 관리자 2022-12-26 7688
공지 마크 로스코 관리자 2022-12-25 7539
공지 실크스크린 체험 관리자 2022-10-28 8034
공지 어머니의 꿈 관리자 2022-10-16 8206
공지 강릉의 동양자수박물관은 존속해야 한다 관리자 2022-03-18 10950
공지 가장 지역적인 것이 세계적인 관리자 2022-02-10 11085
공지 문화재지킴이 관리자 2022-01-27 11257
공지 강릉수보자기의 기적 관리자 2022-01-02 11305
공지 강릉자수는 어디로? 관리자 2021-11-29 12000
공지 박물관존속에 대한 못다핀 글 관리자 2021-11-26 12000
125 현장이 중요하다 관리자 2015-07-16 5322
124 지역성, 한국성, 세계성 관리자 2015-07-07 6047
123 감상과 관람 관리자 2015-07-07 5417
122 전통문화원형과 컨텐츠 관리자 2015-07-02 5695
121 고미술수집은 창작의 원천 관리자 2015-07-02 6231
120 자수속에 담긴 신화 관리자 2015-06-12 6110
119 박물관정책의 현주소와 과제 관리자 2015-06-07 5812
118 간송과 야나기 관리자 2015-06-06 5957
117 박물관의 3대 과제: 보존, 재현, 재창조 관리자 2015-05-25 5137
116 색실누비와 디자인 예술 관리자 2015-03-22 5548
115 전문적인 사립박물관 육성이 시급하다 관리자 2015-03-16 4677
114 전통문화의 사회심리적 의미 관리자 2015-03-15 4640
113 전통문화의 경제적 의미 관리자 2015-03-15 4922
112 오죽헌 역사문화예술관광단지-새로운 변화 안영갑 2014-11-23 5440
111 사와 공 안영갑 2014-10-23 4712
110 원형, 컨텐츠 그리고 문화마케팅 안영갑 2014-10-19 5002
109 기술, 디자인 그리고 스토리 안영갑 2014-10-19 4804
108 전통문화도시와 창조문화도시 안영갑 2014-10-19 5328
107 문화융성시대의 새로운 화두: 협업과 생태계 안영갑 2014-10-18 4749
106 앙리 마티스와 강릉자수 안영갑 2014-07-15 5745
105 문양의 비밀: 강릉색실누비 안영갑 2014-07-05 5784
104 문양의 비밀: 강릉수보 안영갑 2014-06-17 5227
103 체험교육의 도입배경과 과제 안영갑 2014-06-14 4827
102 문양의 재창조 안영갑 2014-06-10 4966
101 소통과 교감 안영갑 2014-06-10 4971
100 관장님 감사드립니다. 백진앙 2014-05-23 4737
99 자수 체험수업을 하며.. 최 민 2013-11-22 5180
98 독일 넥타이 가게, 에드소어 크로넨 안영갑 2013-08-16 6385
97 이탈리아 가방가게, 보욜라 안영갑 2013-08-16 6779
96 프랑스 초콜릿 가게 - 이르상제르 안영갑 2013-08-16 5851
처음  1  2  3  4  5  6  7  8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