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자수박물관

관람후기

강릉의 동양자수박물관은 존속해야 한다

작성일
22-03-18 13:00
작성자
관리자
조회
10,972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강원일보(http://www.kwnews.co.kr) 2022년 3월 18일 기사입니다.

[발언대]강릉의 동양자수박물관은 존속해야 한다



강릉 전통자수품의 우수성을 처음 알게 된 것은 1975년 7월25일. 춘천에서 강원도 내 처음으로 고미술동호인들의 모임인 예맥고미술회가 창립되고서부터였다. 지역 저명인사들이 총망라된 이 모임이 매월 정기적으로 월례회를 개최하고 연구발표, 토론회를 할 때였다. 강릉 출신이며 ‘강원문화논총' 저서를 펴낸 최승순 강원대 교수 회원이 집안 대대로 전래된 강릉 자수품(밥상보·수저집) 2점을 소개하며 자상한 설명까지 곁들였을 때 회원 모두가 흥미와 감동으로 도취됐었다. 이것이 강릉자수품의 우수성이 알려진 여명기(黎明期)였다고나 할까.

필자는 공직생활 중 비교적 잦은 영동지방 출장길에 고미술품 3기 운동(알기, 찾기, 가꾸기)에 열정을 쏟아오다가 집중적인 관심을 경주할 수 있었던 계기는 경찰서장으로 부임하고서였다고 하겠다. 몇 가지 사례를 들면 먼저 강릉 오죽헌 선교장에서 추석·설날이면 관내 기관장, 저명인사, 유지들을 초대, 축하연을 베풀곤 했는데 모두가 전통차례음식에 도취됐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필자는 선교장 안주인 성기희씨로부터 개별적으로 강릉자수품에 대한 본질과 우수성을 배울 수 있었다. 다음은 대관령박물관 창설자이며 초대 관장이었던 홍귀숙 관장으로부터 한국 자수품과 강릉전통 자수품의 탁월성 등을 배움과 동시에 서울 인사동 상가에서 어린이 손바닥만 한 강릉 자수품이 가격 20만~30만원, 소반보는 300만~400만원에 거래된다는 실무적 상식도 얻게 됐다.

동양자수박물관 개관식이 거행되던 날 식장 내에는 강릉시민들보다 외지 축하객들로 더 붐볐다. 춘천에서 승용차 4대, 원주에서 3대가 갔을 뿐 아니라 광주, 대전, 충주 등 각처에서도 참가해줬다. 고미술계의 유명인사로는 서울에서 진품명품 감정가인 양의숙 위원, 금속품 감정가인 백부영 위원도 참석해 참석인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도 했다.

동양자수박물관의 존속은 개관 당시부터 강릉시민뿐 아니라 전 국민으로부터 큰 소리로 외쳐진 기틀이요, 바람이요, 영원 불변한 함성이었다. 서울 인사동 문화의 거리 중심가에서 한복의류 전문가이며 각급 학교에 출강하던 윤하순 교수는 전시품을 두루 관찰하다가 누비쌈지 앞에서 심각한 표정으로 “하늘 솜씨군” 한다. “하늘 솜씨라뇨?”라고 물으니 “천혜적 기교란 뜻이에요” 한다.

중국의 어느 여성 관람객은 “아니 중국에서도 볼 수 없었던 것을 한국에 와서 봤네!”라며 흡족해했고, 어느 일본 관객은 일본 자수품보다 더 세세하고 아름답다는 감탄사를 내뱉었다.

강릉 자수품은 강릉시민의 소유물이긴 하지만 한국인의 전통적 민속유물로서 한국인 모두의 소유물이요, 전세계인의 관심의 기호품이다. 이러한 문화유산을 관장해 오던 동양자수박물관의 임대기간 종료로 폐관 운운의 언론보도를 접했을 때 아연실색했다. 통탄함을 가눌 길이 없었다. 우리의 다음세대가 오늘의 이 현상을 파악, 인지하고 “당시의 선인들이 현철한 판단으로 적확한 결과를 계승케 했었구나”라고 찬탄케 해야 하겠다. 강릉시장님! 관계자 여러분께 당부드립니다. 동양자수박물관 존속토록 해주십시오. 의당당(宜當當) 존속해야 합니다.

* 유용태, 강원 고미술영합회,예맥 고미술회 회장 역임, 현재 몌맥 고미술회 고문, 강원일보사 발간 "강원의 미(1
1, 2, 3집)"의 저자
목록
전체215개, 현재5/전체8페이지
게시물 검색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문화올림픽을 꽃피운 열정(전보삼, 강원도민일보 기고문, 2018) 관리자 2024-11-21 1207
공지 한국자수가 가야할 길 관리자 2024-05-06 2534
공지 자수보자기의 한 땀속에 담긴 미학(자수보자기 전시회 도록 발… 관리자 2023-11-26 3832
공지 어머니의 집 관리자 2023-03-09 6831
공지 명상과 치유의 예술공간 관리자 2022-12-26 7715
공지 마크 로스코 관리자 2022-12-25 7564
공지 실크스크린 체험 관리자 2022-10-28 8055
공지 어머니의 꿈 관리자 2022-10-16 8231
공지 강릉의 동양자수박물관은 존속해야 한다 관리자 2022-03-18 10973
공지 가장 지역적인 것이 세계적인 관리자 2022-02-10 11110
공지 문화재지킴이 관리자 2022-01-27 11284
공지 강릉수보자기의 기적 관리자 2022-01-02 11328
공지 강릉자수는 어디로? 관리자 2021-11-29 12031
공지 박물관존속에 대한 못다핀 글 관리자 2021-11-26 12024
95 일본 녹차 가게 - 나카무라 토키치 안영갑 2013-08-16 5556
94 아름다운 가게, 금박연(한국) 안영갑 2013-08-09 6136
93 예술과 감상 안영갑 2013-08-07 5687
92 100년 가게의 성공의 조건 안영갑 2013-08-06 5734
91 100년을 향한 한국 전통가계의 위기와 희망 안영갑 2013-08-06 5738
90 백년의 가게가 주는 교훈 안영갑 2013-08-05 5519
89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시대 안영갑 2013-07-30 5177
88 아름다운 마무리와 새로운 출발 안영갑 2013-04-28 5507
87 선교장 관장님의 우리박물관 나들이 최민 2012-12-09 5246
86 길과안내 최민 2012-11-18 5158
85 4남매 최민 2012-11-08 5208
84 영국의 스토리텔링 클럽 안영갑 2012-09-16 6696
83 유물원형은 창조의 원천 안영갑 2012-09-15 5549
82 기록이 없는 유물들 안영갑 2012-08-09 5251
81 할머니의 눈물 안영갑 2012-08-09 5600
80 돌아갈 고향이 있다는것이... 이현옥 2012-07-28 5479
79 문화 유산과 스토리텔링 안영갑 2012-07-28 5578
78 강릉수보 안영갑 2012-07-13 6489
77 전통문화와 관광 안영갑 2012-07-08 5598
76 비틀스와 리버플 안영갑 2012-07-05 5971
75 자수속에서 찾은 어머니의 품 관리자 2012-07-02 6247
74 영동 할머니의 기도 안영갑 2012-06-24 6762
73 뉴욕대학 박사학위 논문에 조명된 강릉수보 안영갑 2012-06-23 5951
72 무형문화재와 전승제도 안영갑 2012-06-21 5573
71 박물관의 유물과 컨텐츠 안영갑 2012-06-20 5518
70 지방의 자존심 안영갑 2012-06-19 5553
69 생명의 아픔 안영갑 2012-06-10 5768
68 동양자수의 심미적 특성 안영갑 2012-06-06 5930
67 자수 꽃밭에서 안영갑 2012-06-02 6035
66 살아 있는 박물관 안영갑 2012-06-01 5748
처음  1  2  3  4  5  6  7  8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