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만이 가진 독특한 누비자수는 오방색의 화려하고 절제된 디자인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앞서 발전하였다고 볼 수 있다. 강릉의 전통자수가 독창적 구조와 색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지역적 한계점을 극복하지 못한 채 발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의 문화와 얼이 깃들어 있는 강릉 전통 자수의 특징을 반영하면서 현대 의복이나 생활용품에 활용할 수 있는 텍스타일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강릉전통자수 가운데에서도 전통색실누비자수의 제작 방법, 문양, 소재 등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재구성하여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텍스타일을 디자인함으로써 전통과 미래를 잇는 현대적 강릉자수의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고 나아가 현대적 강릉문화상품 개발에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우선 강릉전통누비자수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고 그를 현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다음으로는 강릉 전통색실누비자수 유물 7점과 그 유물에 표현된 전통자수 문양을 선별하여 새로운 단위패턴으로 디자인하였고, 이를 실물로 제작하였다. 7개의 단위패턴 실물을 활용하여 각 패턴당 두종류의 디자인을 전개하여 최종적으로 14개 텍스타일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각 패턴의 1차 텍스타일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단위패턴의 반사와 반복을 통하여 완성하였고, 2차 텍스타일 디자인은 단위패턴 배열의 변화를 활용하여 새로운 구조의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 문화의 얼이 깃들어 있는 강릉 전통색실누비자수를 새롭게 해석하고 재구성함으로써 전통 규방공예 발전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으며, 더불어 강릉의 지역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텍스타일 소재를 제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